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
    업무자동화 2023. 3. 29. 09:32
    반응형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입고 (Receiving)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입고(Receiving)"는 창고나 물류센터에 상품이 도착하여 입고장소에 안전하게 보관될 때 발생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작업은 WMS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입고작업은 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먼저, 상품이 도착하면 그것이 무엇인지 인식하고, 상품 정보를 시스템에 등록합니다. 그다음에는 상품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보관 위치를 지정하고, 상품을 해당 위치에 입고합니다. 이때 상품의 양과 상태, 유통기한 등을 체크하여 해당 정보를 시스템에 반영합니다. 이를 통해 상품의 유통기한을 준수하고,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RF(무선) Scanner 기능을 통해 상품의 바코드 등을 스캔하여 입고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WMS 시스템에서의 "입고(Receiving)" 작업은 상품의 도착부터 입고장소에 안전하게 보관될 때까지의 작업을 말하며, 상품 정보의 등록, 보관 위치의 지정, 상태 및 유통기한 체크, 그리고 자동화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2. 검수 (Inspection)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검수(Inspection)"는 입고 또는 출고 시에 제품 또는 자재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작업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검수는 제품이나 자재의 수량, 품질, 상태, 유효기간 등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제품이나 자재를 걸러내어 최종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는 품질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합니다.

     

    WMS에서 검수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수동으로 수행되기도 합니다. 검수는 바코드 스캐너, RFID 리더 등을 사용하여 제품 또는 자재의 정보를 스캔하고, 시스템에서 이 정보를 확인하여 검수 작업을 진행합니다. 검수는 또한 검사자가 수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검사자는 제품 또는 자재를 직접 검사하여 문제가 있는 제품이나 자재를 식별하고,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여 최종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는 품질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합니다.

     

    검수는 제품 또는 자재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이며, WMS에서는 자동화된 검수 시스템을 구축하여 검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3. 재고 (Inventory)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재고(Inventory)"는 창고 안에 보관되어 있는 상품들을 의미합니다. 재고는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품의 수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재무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재고는 창고 내부에서 다양한 상태로 관리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재고(available inventory)"는 현재 판매 가능한 상품의 수량을 의미하며, "예약된 재고(reserved inventory)"는 이미 주문이 들어와서 예약된 상품의 수량을 의미합니다. 또한, "보류 중인 재고(on hold inventory)"는 다른 이유로 인해 보류되어 있는 상품들을 의미합니다.

     

    WMS에서는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에는 재고 이동, 재고 이동 이력 추적, 재고 레이아웃 및 위치 지정, 재고 상태 추적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기업이 정확하고 효율적인 재고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4. 피킹 (Picking)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피킹(Picking)"은 주문 수량에 따라 정확한 수량과 상품이 위치한 곳에서 상품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주문에 필요한 상품을 찾아서 준비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바코드 스캔이나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상품의 위치를 파악하고, 제품 정보, 수량, 위치 등의 정보를 확인합니다.

     

    피킹 작업은 주문 처리의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로, 정확한 피킹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객 만족도를 저하시키고, 재고 관리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피킹 작업은 창고 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피킹 작업과 함께 이루어지는 작업으로는 "패킹(Packing)"이 있습니다. 패킹은 주문자가 주문한 상품들을 모아서 적절한 포장 방법으로 포장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상품 정보와 함께 주문 정보와 배송 정보를 확인하여 적절한 포장을 결정합니다.

     

    5. 출고 (Shipping)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출고(Shipping)"란 물류 창고에서 상품이나 자재가 입고된 후, 해당 상품이나 자재를 고객에게 배송하기 위해 창고에서 출발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출고작업은 물류 센터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 중 하나로, 오류가 발생하면 배송이 지연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WMS는 창고 내에서 제품의 이동, 보관, 출고 등의 모든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입니다. 주문이 들어오면 물류 창고에서 물품을 선정해 피킹박스에 물품을 담는 작업을 먼저 합니다. 이 작업을 출고작업, 혹은 피킹작업이라고 합니다. 이후에는 상품이나 자재를 포장하고, 물류센터에서 배송을 위한 라벨링, 운송 수단 배치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출고는 WMS에서 상품이나 자재의 최종 배송을 위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

     

    6. 박스 (Carton)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 중에서 "박스 (Carton)"는 상품을 담아서 보관, 이동, 출하하는 단위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보통 다양한 크기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박스가 사용됩니다. 이는 보관하려는 상품의 크기, 무게,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크기와 재질의 박스를 사용하여 상품을 보관하고 이동시키기 위함입니다. 또한, 박스에는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을 붙이기도 합니다. 이 라벨에는 상품명, 수량, 입고일, 출고일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7. 분류기 (Sorter)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분류기 (Sorter)"는 창고 내부에서 제품을 자동으로 분류해 주는 기계를 말합니다. 분류기는 대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코드 또는 RFID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제품을 식별합니다. 이후 분류 기준에 따라 제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며, 이를 통해 물류 작업자의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분류기는 창고 내부의 제품 이동을 자동화하고, 제품의 배치를 최적화하여 창고 내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8. 적치 (Putaway)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적치(Putaway)", 입고된 상품을 창고의 적절한 위치에 보관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적치는 다양한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보관, 입고, 위치 지정 등으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적치 과정에서는 먼저 상품의 정보를 스캔하여 해당 제품의 정보와 보관 위치를 확인합니다. 그 다음에는 창고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상품을 보관합니다. 이때, 상품의 특성, 보관 기간, 창고 내부 공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를 결정합니다.

     

    적치는 창고 내부에서 원활한 상품 이동과 보관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효율적인 적치 과정은 창고 내부 작업 효율성과 정확도를 향상하며,, 재고관리나 배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9. 색인 (Indexing)

     

    색인(Indexing)WMS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색인은 PC에서 파일, 이메일 메시지 및 기타 콘텐츠를 찾아서 단어와 그 안의 메타 데이터 같은 정보를 분류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색인 허용(Indexing) 기능을 사용합니다. 색인 허용은 해당 과정을 허용한다는 의미이며, PC에서 파일 및 폴더를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WMS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는 색인(Indexing) 기능을 사용하여 창고 내에 있는 상품이나 자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 WMS에서 색인 기능은 창고 내의 재고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0. 로봇 (Robot)

     

    로봇은 WMS 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제품을 운반하고, 상자를 포장하며, 제품을 분류하고, 재고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작업은 보통 인력이 처리하는 것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

     

    로봇은 WMS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창고 작업의 자동화와 최적화에 큰 역할을 합니다. 또한,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높은 수준의 자동화와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WMS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창고 관리 작업의 전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용어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바코드프린터, 스캐너, PDA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WMS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써, 창고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반응형

    '업무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란?  (0) 2023.03.30
    WMS 변천사에 대하여...  (0) 2023.03.30
    WMS 구현 단계에 대하여  (0) 2023.03.28
    SAP의 구현 단계  (0) 2023.03.27
    SAP의 개요  (0) 2023.03.22
Designed by Tistory.